형성

주체사상탑
북한의 체제 이데올로기. 김일성의 1인지배체제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이론이며 따라서 이는 김일성 개인숭배를 사상으로 정착시킨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북한에서‘주체’라는 용어가 처음 공식적으로 제기된 것은 1955년 12월28일 개최된 당 선전선동원대회에서 행한 '사상사업에서 교조주의와 형식주의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데 대하여’라는 김일성의 연설에서이다.
당시 소련에서는 철권통치자 스탈린의 사망으로 스탈린 격하운동이 벌어지게 됐고, 따라서 소련의 영향력 하에 있던 북한으로서는 김일성 1인지배체제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는 이와 같은 소련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주체'를 내세우게 된 것이다.
이 연설에서 '주체'는 당면한 사상사업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쳤으나 김일성이 당내의 여러 파벌에 대한 숙청을 계속하면서 경제에서의 자립,국방에서의 자위 등 다른 분야로 확대 적용됐다. 이후 중 · 소 이념분쟁이 격화되고 현대 수정주의에 관한 시비가 벌어지자 대외정치 명분으로까지 활용되기 시작했다.
내용 | 제기시기 | 배경 |
---|---|---|
사상에서의 주체 | 당 선전선동원대회(1955.12.28) | 스탈린의 사망 당내 남로당파 숙청 |
경제에서의 자립 |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1956.12.11) | 스탈린의 사망 당내 남로당파 숙청 |
정체(내정)에서의 자주 | 당 중앙위원회 확대전원회의(1957.12.5) | 스탈린의 사망 당내 남로당파 숙청 |
국방에서의 자위 | 당 중앙위원회 제4기 제5차 전원회의(1962.12.10) | 스탈린의 사망 당내 남로당파 숙청 |
정치(외교)에서의 자주 | 제2차 당 대표자회(1966.10.5) | 스탈린의 사망 당내 남로당파 숙청 |
유일사상체계 확립 | 당 중앙위원회 제4기 15차 전원회의(1967.5.28), 당 중앙위 제5기 제8차 전원회의(1974.2.12) 및 전국당선전일군강습회(1974.2.19) |
스탈린의 사망 당내 남로당파 숙청 |
온 사회 주체 사상화 강화 | 제6차 당대회(1980.10.10) | 스탈린의 사망 당내 남로당파 숙청 |
이후 김일성의 절대권력이 확고해지고 개인숭배가 대대적으로 추진되면서, '유일사상체계'란 개념이 나오게 됐고, 바로 그 유일사상체계가 주체사상이며, 여기에 기초한 정치 · 사상적 통일을 의미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1970년 제5차 당대회에서는 '주체사상'이 당 이념으로 공식화되고 당 규약에 명문화됐다. 이어 1982년에 제정된 헌법은 주체사상을 공식 통치이데올로기로 규정했다. 1974년에는 주체사상을 '김일성주의'로 정식화하면서 '김일성주의’를 “주체시대의 요구를 반영하고 나온 새롭고 독창적인 혁명사상”으로서 “주체의 사상, 리론 및 방법의 체계”라고 강조, 마르크스-레닌주의와 구별지음은 물론 후에는 더 우월한 사상이라고 주장하게 된다. 1974년은 김정일이 후계자로 사실상 공식적으로 등장한 시점이므로 주체사상은 김일성 1인지배체제, 유일지배체제, 김정일 세습체제 구축 등과 무관치 않음을 알 수 있다. 1982년 이후에는 '사상에서의 주체, 정치에서의 자주, 경제에서의 자립, 국방에서의 자위’를 지도적 원칙의 한 부분으로 구성하는 등 이론적으로 다듬어졌다.
김정일은 김일성이 1930년 6월 말, 중국 만주의 장춘현‘카륜’에서 열린‘공청 및 반제 청년동맹 지도간부회의’에서 주체사상 창시를 선포했다고 주장하지만, 김일성이 1930년대에는 중국공산당의 무장부대인 동북항일연군에서, 그리고 1940년대 초반에는 소련군의 정찰부대인 88특별여단에서 활동하였다는 점에서 볼 때 이는 근거가 희박한 것이다.
혁명적 수령관
주체사상은 대내외 정세변화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왔다. 처음에는 “사람(집체적 용어로서 인민대중을 뜻함)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철학적 원리에 기초한 사상이라 했다. 즉 사람이 자주성과 창조성, 의식성을 가지고 자기 운명을자주적 · 창조적으로 개척해 나아가는 사회적 존재, 즉 역사의 주체지만 아무 조건 없이 자기 운명을 자주적,창조적으로 개척해 나갈 수는 없고, 수령의 올바른 영도를 받을 때만 역사적 주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령의 지도가 주체 확립에서 핵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혁명적 수령관’이다.
1986년에는 이 '혁명적 수령관'에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이 추가된다. 이는 “혁명의 주체는 다름아닌 수령, 당, 대중의 통일체”이며“수령, 당, 대중은 하나의 생명체로서 생사 운명을 같이하는 사회정치적 생명체로 결합”되어 있다는 주장이다. 이는 곧 '혈연론'으로 발전하고, 이것이 세습체제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논거가 되기도 한다.
김정일시대의 주체사상
김정일 시대에 접어들면서 '주체사상'이란 용어 사용의 빈도 자체는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것이 곧 '주체사상'이 지배이념의 지위를 상실해 가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며, 김정일이 권력을 승계한 이후 하위 실천이념을 부각할 필요성이 대두됐기 때문에 '주체사상' 강조의 수위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즉 주체사상 자체에 대한 전반적인 선전의 강도는 약화되고 있지만 주체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는 ‘붉은기사상’, ‘강성대국론’, ‘선군정치론’등이 새로운 실천적하위 통치이념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