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반도 A to Z

주요뉴스

북 "탈북민 탓 코로나19 위험 커져"…정부 "사실관계 확인 중"

뉴스2020-07-27
북 "탈북민 탓 코로나19 위험 커져"…정부 "사실관계 확인 중"

북한이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탈북민이 개성으로 귀향했다고 공개한 이후 바이러스 확산을 경계하는 경고를 내놓았습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7일 '당 중앙의 지시와 조치를 정확히 집행하여 조성된 방역 위기를 타개하자'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상황의 심각성을 부각하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신문은 "며칠 전 전문방역기관에서 불법 귀향자에 대한 여러 차례의 해당한 검사를 진행한 데 의하면 악성 비루스(바이러스) 감염자로 의진할 수 있는 석연치 않은 결과가 나왔다"며 "대유행 전염병에 대하여서는 항상 의심부터 하고 가능한껏 1%라도 안전율을 더 높이며 뒤따라가는 식이 아니라 앞질러 가며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주민들을 향해서도 "마스크 착용과 소독사업을 비롯하여 제정된 방역 규정과 질서를 엄격히 준수하여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북한은 26일 조선중앙통신 등 관영매체를 통해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월남 도주자가 3년 만에 불법적으로 분계선을 넘어 7월 19일 귀향하는 비상사건이 발생하였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에 지난 25일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비상확대회의를 소집, 국가비상방역체계를 '최대비상체제'로 격상했습니다.

통일부는 탈북민 재입북으로 북한에 코로나19 확산 위험성이 커졌다는 주장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탈북민 재입북을 계기로 남측에 코로나19 확산 책임을 전가하려 한다는 분석에 대해 "사실관계 확인이 먼저라고 생각한다"면서 "재입북한 사람이 누구인지 특정하고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파악하는 게 순서"라고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최근 5년간 북한의 보도 등을 통해 확인된 탈북민 재입북은 총 11명이라고 밝혔습니다.

여 대변인은 "재입북자는 2015년에 3명, 2016년에 4명, 2017년에 4명 등 총 11명이며 올해 지금 이것(북한 보도를 통해 알려진 재입북 사례)은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Photo : YONHAP News]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