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우수성

가장 먼저 세워진 조선 왕조의 상징, 종묘

태조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를 결정하고 경복궁의 터를 잡은 뒤 제일 먼저 종묘와 사직을 세웠다.
종묘는 선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사당이고 사직은 토지신과 곡물신을 이르는 말로, 사직단은 백성의 안위와 풍년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출처: 문화재청

  • 종묘

  • 사직단

종묘의 구조

종묘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은 정전과 영녕전으로 정전에는 조선을 세운 태조를 비롯한 나라에 공이 큰 왕과 왕비의 신주 49위가 모셔져 있고 영녕전에는 정전에서 물러난 신주 34위가 모셔져 있다. 정전 뜰 앞의 공신당에는 조선시대 공신 83위가 모셔져 있다.

① 정전② 영녕전

  • 조상의 혼이 머무는 곳, 신주

    신주는 돌아가신 분의 이름을 적어 놓은 작은 나무패로 한국의 선인들은 돌아가신 분의 혼이 신주에 깃들어 있으며 신수에서 쉬어 간다고 생각했다.
    조선은 태조부터 순종에 이르기까지 27대에 걸쳐 519년간 이어져 온 왕조로 종묘에는 폐위된 왕 연산군과 광해군을 제외한 25위의 왕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 출처: 문화재청

절제미의 극치, 정전

종묘의 주전인 정전은 가로 길이가 101m로 세계에 남아 있는 사당 건축물 가운데 가장 긴 목조 건물로 꼽힌다.
원래 정전은 처음 세워진 1395년, 7칸 건물이었지만 모셔야 할 신주가 늘어남에 따라 19실까지 증축되어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죽은 조상의 영혼을 모신 공간인 만큼 정전은 화려한 색상과 장식을 거의 하지 않았지만 선왕에게 제사지내는 최고의 격식과 검소함을 건축공간으로 구현했다.

출처: 문화재청

효심이 드러나는 건축물

종묘의 대문인 외대문 앞에는 ‘하마비’가 있는데 이는 외대문에 이르면 왕이라 할지라도 가마에서 내려 걸어 들어가야 한다는 의미로 조상에 예를 다하는 선조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종묘 제례와 제례악

종묘의 정전에서는 지금도 매년 5월 첫째 주 일요일이면 종묘제례가 열리며, 조선의 역사가 과거가 된 지금도 1462년 정형화된 형태를 같은 방식, 같은 예도대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사례로 2001년, 종묘제례는 종묘제례악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종묘제례악은 기악, 노래, 춤으로 구성되는데 그 동작이 단순하면서도 장엄한 것이 특징이다.

출처: 문화재청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