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화순·강화의 고인돌 유적

우수성

한반도의 고인돌

우리나라의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인 기원전 1,000년의 장례 및 의식 유적으로 선사시대의 기술 및 사회발전을 생생히 보여주는 유적이다.
동북아 지역이 세계적인 고인돌 지역인데, 그 중에서도 30,000여 기의 고인돌이 분포한 한국은 거석문화의 중심지다.

고인돌의 종류

고인돌은 돌 위에 넓은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 고인돌, 땅속에 무덤 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놓은 뒤 거대한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 고인돌, 땅속 무덤 방에 받침돌 없이 덮개돌을 올린 개석식 고인돌 등이 있다.
한국에는 세 종류의 고인돌이 모두 있고, 크기도 다양해서 오랜 세월에 걸쳐 여러 지역에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출처: 문화재청

  • 탁자식 고인돌

  • 바둑판식 고인돌

  • 개석식 고인돌

고인돌을 만드는 방식

우선 쓸 만 한 돌을 찾아내거나 커다란 암반에서 떼어내는 방법으로 석재를 구한다. 암반으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바위 결을 따라 난 조그만 틈에 깊은 흠을 파서 나무 말뚝을 박고 물에 적셔놓는 방법을 쓴다. 떼어낸 돌은 큰 통나무 여러 개를 깔아놓고 옮긴다. 땅을 파서 고임돌을 세운 뒤 고임돌 위에 덮개돌을 얹힌다. 그 뒤 고임돌과 덮개돌로 인해 생긴 공간에 주검과 부장품을 밀어 넣은 후 편편한돌 판으로 막으면 모든 과정이 마무리된다.

고창 고인돌 유적

전라북도 고창군 죽림리와 도산리 일대에 매산마을을 중심으로 동서로 약 1,764m 범위에 447기가 분포하고 있는 한국 최대 규모의 고인돌 군집 지역이다.
고창 고인돌 유적은 작게는 10톤에서부터 크게는 300톤에 이르고 탁자식, 바둑판식, 지상석곽형 등 다양한 형식의 고인돌이 두루 분포되어 있어 동북아 고인돌의 변천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출처: 문화재청

화순 고인돌 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신리 일대의 계곡을 따라 약 10㎞에 걸쳐 596기(고인돌 287기, 추정고인돌 309기)의 고인돌이 다양한 지형에 분포되고 있다. 최근에 발견되어 보존상태가 좋고 고인돌의 축조과정을 보여주는 채석장이 발견되어 당시의 석재를 다루는 기술, 축조와 운반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문화재청

채석장

강화 고인돌 유적

인천광역시 강화군 부근리, 삼거리, 오상리 등의 지역에 고려산 기슭을 따라 130여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이곳에는 가로 3.35m, 세로 2.47m, 두께 0.65m의 우리나라 최대의 탁자식 고인돌이 있으며 대부분 해발 250-350m 사이에 많이 분포하고 있어 국내 다른 고인돌이 위치한 평균 고도보다 높다는 특징이 있다.

출처: 문화재청

Close